고르디우스의 매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르디우스의 매듭은 고대 프리기아의 전설로, 왕이 없던 프리기아에 소달구지를 타고 온 남자가 왕이 될 것이라는 신탁에 따라 농부 고르디아스가 왕이 되고, 그의 아들 미다스가 사바지오스 신에게 바친 소달구의 매듭을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풀었다는 이야기이다. 이 매듭은 아시아의 지배자가 될 자만이 풀 수 있다는 예언이 있었고,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매듭을 풀지 못하자 칼로 베어 예언을 성취했다는 설과 쐐기를 뽑아 매듭을 풀었다는 설이 있다. 이 전설은 왕조 교체의 정당성을 부여하고, 종교적 암호를 상징한다는 해석도 존재하며,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아시아 정복을 정당화하는 신화로 여겨진다.
옛날 프리기아에 왕이 없었을 때, 텔미소스 (고대 리키아의 수도)의 신탁은 소달구지를 몰고 도시로 들어오는 첫 번째 남자가 왕이 될 것이라고 예언했다. 고르디아스라는 농부가 소달구지를 몰고 들어오자, 사람들은 그를 왕으로 추대했다.[1] 그의 아들 미다스는 감사의 표시로 소달구[1]를 프리기아 신 사바지오스 (그리스인들이 제우스와 동일시)에게 바치고, 유럽 산딸나무 껍질로 얽힌 복잡한 매듭으로 기둥에 묶었다. 로마 역사가 퀸투스 쿠르티우스 루푸스는 이 매듭을 "여러 개의 매듭이 모두 너무 꽉 얽혀서 어떻게 묶였는지 알 수 없었다"고 묘사했다.[2]
고르디우스의 매듭은 단순한 매듭이 아니라, 깊은 상징적 의미를 지닌 대상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로버트 그레이브스는 이 매듭이 디오니소스의 이름을 숨긴 종교적 암호였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프리지아 왕들만이 그 비밀을 알고 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신화는 중앙 아나톨리아 왕국의 왕조 교체를 정당화하는 역할을 했는데, 알렉산드로스가 매듭을 자른 행위는 "고대의 섭리를 끝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또한 수레는 마케도니아에서 알렉산더 대왕과 관련된 기원 신화를 암시하며, 새로운 왕조는 오래되지 않은 기원을 가졌고, 사제가 아닌 "외부인" 계급 출신이라는 점이 강조된다.
2. 전설
이 매듭은 '''고르디우스의 매듭'''으로 알려졌고, 많은 사람들이 풀려고 도전했지만 풀리지 않았다. 사람들은 "이 매듭을 풀 수 있는 자가 아시아의 왕이 될 것이다"라고 예언했다.
수백 년 후, 마케도니아 왕 알렉산드로스 3세(알렉산드로스 대왕)가 이 땅을 원정하던 중 매듭에 도전했지만, 역시 풀 수 없었다. 그러자 대왕은 칼을 꺼내 매듭을 단칼에 베어 버렸고, 묶여 있던 멍에는 아주 쉽게 풀렸다. 하늘에는 천둥 소리가 울리고, 대왕의 측근 아리산드로스는 "방금 우리 대왕이 그 매듭을 풀었다. 천둥 소리는 제우스 신의 축복의 증거이다"라고 선언했다. 후에 알렉산드로스 3세는 원정지에서 잇달아 승리하여, 예언대로 아시아의 왕이 되었다.[13]
2. 1. 프리기아의 왕위와 고르디아스
왕이 없던 프리기아인들은 텔미소스의 신탁에 따라 소달구지를 몰고 도시로 들어오는 첫 번째 남자인 고르디아스를 왕으로 선포했다.[1] 고르디아스는 감사의 표시로 소달구지를 프리기아 신 사바지오스(그리스인들은 제우스와 동일시)에게 바치고, 유럽 산딸나무 껍질로 만든 복잡한 매듭으로 기둥에 묶었다. 퀸투스 쿠르티우스 루푸스는 이 매듭을 "여러 개의 매듭이 모두 너무 꽉 얽혀서 어떻게 묶였는지 알 수 없었다"고 묘사했다.[2]
고르디아스는 왕이 된 후, 고르디온을 건설하고, 자신이 타고 온 우차를 신에게 바쳤다. 이때 우차를 묶은 매듭은 '''고르디우스의 매듭'''으로 알려졌으며, "이 매듭을 풀 수 있는 자야말로 아시아의 왕이 될 것이다"라는 예언이 덧붙여졌다.
2. 2. 고르디아스의 봉헌과 매듭
프리기아에 왕이 없었을 때, 텔미소스 (고대 리키아의 수도)의 신탁은 소달구지를 몰고 도시로 들어오는 첫 번째 남자가 왕이 될 것이라고 예언했다. 고르디아스라는 가난한 농부가 소달구지를 몰고 마을로 들어왔는데, 그의 소달구지에는 신의 사자인 독수리가 앉아 있었다. 이를 본 점술가의 여자가 그가 바로 다음 왕이라고 외쳐, 고르디아스는 즉시 왕으로 선포되었다.[1]
고르디아스는 고르디온을 세우고, 신의 예언에 감사하는 마음으로 자신이 타고 온 소달구지를 사바지오스 신에게 바쳤다. 그는 유럽 산딸나무 껍질 (''Cornus mas'')로 만든 튼튼한 끈으로 짐마차의 멍에를 기둥에 묶었다. 이 매듭은 로마 역사가 퀸투스 쿠르티우스 루푸스가 "여러 개의 매듭이 모두 너무 꽉 얽혀서 어떻게 묶였는지 알 수 없었다"고 묘사할 정도로 복잡했다.[2] 사람들은 이 짐마차를 묶은 매듭을 '''고르디우스의 매듭'''이라 불렀고, "이 매듭을 풀 수 있는 자가 아시아의 왕이 될 것이다"라는 예언이 생겨났다.
2. 3. 신탁과 알렉산드로스 대왕
프리기아에 왕이 없던 시절, 텔미소스 (고대 리키아의 수도)의 신탁은 소달구지를 몰고 도시로 들어오는 첫 번째 남자가 왕이 될 것이라고 예언했다. 고르디아스라는 농부가 소달구지를 몰고 들어오자, 사람들은 그를 왕으로 추대했다.[1] 그의 아들 미다스는 감사의 의미로 소달구[1]를 프리기아 신 사바지오스 (그리스인들은 제우스와 동일시함)에게 바치고, 유럽 산딸나무 껍질 (''Cornus mas'')로 만든 복잡한 매듭으로 기둥에 묶었다. 로마 역사가 퀸투스 쿠르티우스 루푸스는 이 매듭을 "여러 매듭이 얽혀 있어 어떻게 묶였는지 알 수 없다"고 묘사했다.[2]
기원전 4세기,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고르디움에 도착했을 때, 프리기아는 페르시아 제국의 속주가 된 상태였다. 당시 소달구는 옛 프리기아 왕들의 궁전에 보관되어 있었다. 신탁에 따르면 이 복잡한 매듭을 푸는 자는 아시아 전체의 통치자가 될 운명이었다.[2]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매듭을 풀고자 했으나, 어려움을 겪자 "어떻게" 푸는지는 중요하지 않다고 판단했다. 그의 해결 방법에 대해서는 여러 기록이 엇갈린다. 한 기록에서는 그가 칼로 매듭을 잘랐다고 전한다.[2] 반면, 플루타르코스와 아리아노스는 아리스토불로스의 기록을 인용, 알렉산드로스가 멍에를 고정한 쐐기를 뽑아 끈의 양 끝을 드러내 매듭을 풀었다고 주장한다.[3][4] 일부 고전 학자들은 후자의 설명이 더 설득력 있다고 본다.[5]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이후 인더스 강과 옥수스 강까지 아시아 지역을 정복하여 예언을 실현했다.[13]
3. 해석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고르디우스의 매듭을 풀었다는 이야기는 여러 문헌에 등장하지만, 그 방법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린다. 아리아노스, 쿠인투스 쿠르티우스 등은 알렉산드로스가 칼로 매듭을 잘랐다고 기록한 반면,[18] 플루타르코스는 아리스토불로스의 말을 인용해 알렉산드로스가 매듭을 고정하던 못을 뽑아 끈의 양쪽 끝을 찾아내어 풀었다고 주장한다.[19][20]
'아시아의 왕'이라는 표현은 반드시 현재의 아시아 대륙 전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닐 수 있지만,[26] 알렉산드로스 3세가 인더스강 유역까지 정복한 것은 역사적 사실로 받아들여진다.
3. 1. 종교적 암호 매듭
고르디우스의 매듭은 사제와 여사제들이 지킨 종교적 암호 매듭이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로버트 그레이브스는 이것이 프리지아 왕들에게만 전해졌던 디오니소스의 형언할 수 없는 이름을 매듭으로 묶은 암호 형태로 상징했을 수 있다고 추정했다.[7]
수레는 단순한 지역 여행이 아닌, 더 긴 여정을 암시한다. 이는 마케도니아에서 알렉산더 대왕과 관련된 기원 신화와 연결될 가능성이 있으며, 알렉산더 역시 이를 인지했을 것으로 보인다.[8] 이 기원 신화에 따르면, 새로운 왕조는 그 기원이 오래되지 않았고, 사제가 아닌 "외부인" 계급 출신이라는 점이 널리 알려져 있었다. 그리스 기록에서는 이들을 어원의 농민[9] 또는 현지에서 확인된 진정한 프리지아인[10]으로 묘사했다. 롤러(1984)는 그리스 보고서에서 프리지아적 요소를 분리하여 민간 설화 및 종교적 요소를 찾고, 왕조 창시자를 "제우스"와 키벨레 숭배와 연결 짓는다.[11]
다른 그리스 신화에서는 정복의 권리로 왕조를 정당화하지만( 카드모스 참고), 이 신화에서는 신탁을 강조하여 이전 왕조가 정체불명의 신탁 신과 연합한 사제-왕족이었음을 시사한다.
로버트 그레이브스는 이 매듭이 고르디아스/미다스 왕의 사제들이 지키던 종교적 매듭 암호였을 가능성을 제시했다. 즉, 디오니소스의 신성한 이름을 매듭으로 표현한 암호였으며, 그 비밀은 대대로 사제들을 통해 프리지아 왕에게만 전해졌을 것이라고 추정했다.[16]
3. 2. 왕조 교체의 정당화
로버트 그레이브스는 고르디우스 매듭이 프리지아 왕들에게만 전해지던 디오니소스의 이름을 암호화한 종교적 상징이었을 것이라 추정했다.[7] 이 신화는 중앙 아나톨리아 왕국의 왕조 변화에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보이며, 알렉산드로스의 "매듭을 잔혹하게 자른 행위"는 "고대의 섭리를 끝냈다."[7]
이 신화에서 수레는 단순한 지역 여행이 아닌, 마케도니아에서 알렉산더 대왕과 연결되는 기원 신화를 암시하며, 알렉산더는 이를 인지했을 가능성이 크다.[8] 새로운 왕조는 오래되지 않은 기원을 가졌으며, 사제가 아닌 "외부인" 계급에 속한, 어원의 농민[9] 또는 현지에서 증명된 진정한 프리지아인[10]으로 묘사된 인물로부터 시작되었다. 롤러(1984)는 그리스 보고서에서 진정한 프리지아 요소를 분리하여 민간 설화와 종교적 요소를 찾아 왕조 창시자를 "제우스"와 키벨레 숭배와 연결한다.[11]
다른 그리스 신화는 정복의 권리로 왕조를 정당화하지만, 이 신화에서 강조된 신탁은 이전 왕조가 정체를 알 수 없는 신탁적 신과 연합한 사제-왕족이었다는 것을 시사한다.
3. 3. 기원 신화와의 연결
로버트 그레이브스는 고르디우스의 매듭이 프리지아 왕들에게만 전해지던 디오니소스의 이름을 상징하는 암호 매듭이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7] 그는 이 신화가 중앙 아나톨리아 왕국의 왕조 변화에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보았으며, 알렉산더의 "매듭을 잔혹하게 자른 행위"는 "고대의 섭리를 끝냈다"고 평가했다.[7]
이 기원 신화는 새로운 왕조가 오래되지 않았으며, 사제가 아닌 "외부인" 계급에 기원을 두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리스 보고서에서는 어원의 농민[9] 또는 현지에서 증명된 진정한 프리지아인[10]으로 묘사되었다. 롤러(1984)는 그리스 보고서에서 진정한 프리지아 요소를 분리하여 민간 설화와 종교적 요소를 찾아 왕조 창시자를 제우스와 키벨레 숭배와 연결한다.[11] 다른 그리스 신화와 달리, 이 신화는 정복의 권리가 아닌 신탁에 의한 정당화를 강조하는데, 이는 이전 왕조가 신탁적 신과 연합한 사제-왕족이었음을 시사한다.
옛날, 권력 다툼에 시달리던 프리기아에 왕의 후계자가 없어졌다. 테르메소스의 신 사바지오스에게 신탁을 받은 결과, 우차를 타고 오는 남자가 프리기아의 왕이 될 것이라는 예언이 내려졌다. 마침 신전에 우차를 타고 들어온 가난한 농민 고르디아스가 독수리가 우차에 앉아 있었기 때문에 다음 왕으로 선포되었다. 고르디아스는 왕이 되어 왕도 고르디온을 세우고, 우차를 신 사바지오스에게 바쳤다. 그는 미즈키 나무 껍질로 만든 끈으로 짐마차의 멍에를 기둥에 묶고, "이 매듭을 풀 수 있는 자야말로 아시아의 왕이 될 것이다"라고 예언했다. 이 매듭이 '''고르디우스의 매듭'''이다.
수백 년 후, 마케도니아 왕 알렉산드로스 3세(알렉산드로스 대왕)가 이 매듭에 도전했으나 풀지 못했다. 대왕은 칼로 매듭을 베어 풀었고, 측근 아리산드로스는 제우스 신의 축복이라고 선언했다. 알렉산드로스 3세는 예언대로 아시아의 왕이 되었다.[13] 이 신화는 고르디아스가 매듭을 만든 신화와 알렉산드로스 3세가 매듭을 푼 전설 두 가지로 구성된다.
프리게아는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의 속주가 되었지만, 기원전 4세기 무렵에도 수레는 프리게아의 고르디온 옛 궁전에 있었다.[14][15] 로버트 그레이브스는 이 매듭이 고르디아스/미다스 왕의 사제들이 지킨 종교적 매듭 암호였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다. 디오니소스의 신성한 이름을 매듭으로 표현한 암호이며, 그 비밀이 사제를 통해 왕에게만 전해졌을 것이라고 추측했다.[16]
로빈 레인 폭스는 신화에 수레(전차)를 주제로 한 것이 몇 가지 있다고 지적했다.[17] 알렉산드로스 3세가 고르디우스의 매듭을 풀었다는 이야기는 아리아노스, 쿠인투스 쿠르티우스, 유니아누스 유스티누스, 클라우디우스 아엘리아누스 등에 등장한다.[18]
플루타르코스는 알렉산드로스 3세가 칼로 매듭을 끊었다는 정설에 이의를 제기하며, 아리스토불로스의 말을 인용해 매듭을 고정하던 못을 뽑아 끈의 양쪽 끝을 찾아내어 풀었다고 주장한다. 일부 고전학자도 이쪽이 더 타당하다고 본다.[19][20] 알렉산드로스 3세가 "매듭을 야만적인 방법으로 끊은 것"은 고대 체제의 종말을 의미했다.[21] 수레는 고르디아스와 미다스의 여정이 긴 여정이었음을 시사하며, 그들의 신화 기원이 마케도니아에 있다는 것과 연결된다.[22] 이 신화에 따르면 새 왕조는 기원이 오래되지 않았고, 시조가 성직자가 아닌 외지인이었다. 명조로서 농민 "고르디아스"[23] 또는 프리게아인 "미다스"[24]가 수레를 탔다는 것으로 그 사실을 대표한다.[25]
'아시아의 왕'이라는 기술은 현재의 아시아 대륙을 의미하는 것은 아닐 수 있다.[26] 그러나 알렉산드로스 3세가 인더스강 유역까지 정복한 것은 사실로 여겨진다.
참조
[1]
서적
Anabasis Alexandri
[2]
웹사이트
What was the Gordian Knot?
http://www.history.c[...]
2017-05-30
[3]
서적
The Campaigns of Alexander
Penguin Group
[4]
간행물
Alexander
[5]
학술지
Alexander, Midas, and the Oracle at Gordium
1961-07
[6]
서적
Alexander the Great
[7]
서적
The Greek Myths
http://www.24grammat[...]
Penguin Books
[8]
기타
[9]
간행물
Alexander
[10]
문서
Arrian
[11]
학술지
Midas and the Gordian knot
1984-10
[12]
웹사이트
デジタル大辞泉 ゴルディオスの結び目とは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7-12-30
[13]
서적
アレクサンドロス大王東征記
[14]
문서
[15]
문서
[16]
서적
The Greek Myths
[17]
서적
Alexander the Great
[18]
서적
Alexander the Great
[19]
간행물
Life of Alexander
[20]
학술지
Alexander, Midas, and the Oracle at Gordium
1961-07
[21]
서적
[22]
기타
[23]
간행물
Alexander
[24]
문서
アッリアノス
[25]
학술지
Midas and the Gordian Knot
1984-10
[26]
서적
Alexander the Grea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